긁적긁적

Category React

React : Payload와 Snapshot용어

Payload (페이로드) React에서 “payload”는 일반적으로 액션(action) 객체 내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Redux에서 액션 객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제에서 payload는 ADD_TODO 액션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담고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보통 상태(state)를 변경하기 위해 리듀서(reducer) 함수에 전달됩니다. Snapshot… Continue Reading →

React : 디바운싱(debouncing)

디바운싱(debouncing)은 연이어 호출되는 함수들 중 마지막 함수만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특히, 이벤트 핸들러 함수에 적용하여 이벤트의 연속적인 발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디바운싱은 입력 창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면,… Continue Reading →

React : Html Form

HTML에서 폼(Form)을 제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폼 내의 입력 필드를 작성한 후 “Submit” 버튼을 클릭하거나, 폼 내에서 Enter 키를 누르면, 폼의 입력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폼(Form) 내에 버튼이 위치하지 않고, 다른 영역에 위치한다면, 사용자가 Enter 키를 누를… Continue Reading →

React : LiftingState(상태 끌어올리기)

React에서 상태 끌어 올리기가 필요한 이유는 형제 컴포넌트끼리 직접적으로 상태값을 전달할 수 없습니다.이유는 React의 단방향 데이터 흐름(one-way data flow) 구조 때문입니다.React에서는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props를 전달하고, 자식 컴포넌트에서는 해당 props를 사용하여 렌더링합니다. 그리고 자식 컴포넌트에서 발생한 이벤트나 사용자 입력에… Continue Reading →

React : useReducer

useReducer는 React Hooks 중 하나로, React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useReducer 함수는 두 개의 인수를 받습니다. 첫 번째 인수는 reducer 함수이고, 두 번째 인수는 초기 상태입니다. useReducer는 상태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reducer 함수를 호출하며, reducer 함수는 현재 상태와… Continue Reading →

React : useEffect

컴포넌트가 랜더링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Hooks이다. 예제 Child Cleanup

React : useState

useState는 Hook에서 가장 기본적은 Hook이며 가변 데이터 상태를 지닐 수 있게 해준다 useState 여러번 사용하기

React : State와 Props 차이

State state는 컴포넌트 가변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며, 컴포넌트 내부에서 선언및 관리한다. 기본적으로 상태가 변경이 되면 컴포넌트는 리렌더링 된다. 가변 데이터의 상태 Private state(컴포넌트 스스로 관리) 컴포넌트 내부에서 직접 변경 가능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UseState =… Continue Reading →

Next js (React) @emotions 사용하기

Plugins 설치 root폴더에서 .babelrc 파일 생성 React emotion 사용

© 2025 CodeCok — Powered by WordPress

Theme by Anders NorenUp ↑